맨위로가기

니코폴리스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코폴리스 전투는 1396년 9월 25일에 벌어진 오스만 제국과 십자군의 전투이다. 14세기 말 오스만 제국이 발칸 반도를 장악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위협하자, 교황 보니파시오 9세의 주도로 프랑스, 헝가리, 부르고뉴 등 서유럽 기사들이 십자군을 결성하여 오스만 제국에 대항했다. 십자군은 니코폴리스를 포위했지만, 바예지드 1세가 이끄는 오스만 군에게 대패했다. 이 전투의 패배로 서유럽의 십자군 원정은 실패로 돌아갔고, 오스만 제국의 발칸 지배는 더욱 강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니코폴리스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장 콜롬브의 미니어처 (c. 1475)
장 콜롬브의 미니어처 (c. 1475)
전투명니코폴리스 전투
일부오스만 제국의 유럽 침공 및 십자군 전쟁
날짜1396년 9월 25일
장소오스만 제국, 불가리아, 니코폴리스
좌표43° 42′ 21″ N 24° 53′ 45″ E
결과오스만 제국의 승리
영향십자군의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니코폴리스 점령 실패
교전 세력
교전국 1오스만 제국
모라비아 세르비아
교전국 2십자군
신성 로마 제국
프랑스 왕국
부르고뉴 공국
헝가리 왕국
트란실바니아 공국
크로아티아 왕국
왈라키아 공국
몰타 기사단
베네치아 공화국
제노바 공화국
불가리아 제국
튜튼 기사단
비잔티움 제국
첼레 백국
브란코비치 지역
지휘관 및 지도자
오스만 제국바예지드 1세
찬다를리 알리 파샤
에브레노스
스테판 라자레비치
십자군지기스문트, 헝가리 및 크로아티아 왕
스티보르츠의 스티보르
거러이 미클로시 2세
외 백작 필리프 (포로)
장 2세 르 멩그르 (포로)
느베르 백작 장 (포로)
앙게랑 7세 드 쿠시 (포로)
장 드 비엔 (전사)
장 드 카루주 (전사)
미르체아 1세
러츠크피 2세 이슈트반
이반 스라치미르 (처형)
필리베르 드 나이약
부크 브란코비치 (포로)
병력 규모
오스만 제국10,000–20,000명
십자군17,000–20,000명
사상자 및 피해 규모
오스만 제국상당한 손실
십자군대부분의 십자군 군대 파괴 또는 포획
3,000명의 포로 처형

2. 배경

14세기에는 국왕이나 기사에 의해 개인적으로 일어난 많은 소규모 십자군이 있었다. 가장 가까운 예로는 1390년 튀니지에 대한 실패로 끝난 십자군이 있었고, 발트해 연안에서는 북방 십자군이 계속 진행되었다. 1389년 코소보 전투에서의 승리 이후, 오스만 제국발칸 지역의 대부분을 정복하고 동로마 제국을 콘스탄티노플 주변으로 몰아넣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포위했다.[1]

1393년 불가리아의 군주 이반 시슈만은 임시 수도인 니코폴리스를 오스만 제국에 빼앗겼다. 반면 그의 형제인 이반 슬라치미르는 비딘을 유지했지만, 오스만 제국의 종속국으로 전락했다. 불가리아 귀족, 전제 군주, 그리고 기타 독립적인 발칸의 지배자들에게 이것은 오스만 제국의 침공을 막고 이슬람의 지배로부터 발칸을 해방할 절호의 기회였다.

이슬람과 기독교의 경계선이 서서히 헝가리 왕국으로 이동하면서, 헝가리 왕국은 동유럽에서 두 종교의 경계선이 되었고, 공격의 위험에 노출되었다.

베네치아 공화국모레아의 일부나 달마티아 등 베네치아의 영토를 포함한 발칸 반도의 오스만 제국 지배가 아드리아 해나 이오니아 해, 에게 해에 대한 베네치아의 영향력을 감소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제노바 공화국은 도나우 강과 보스포루스·다르다넬스 양 해협의 지배권을 오스만 제국이 획득함으로써 카파, 시노페나 아마스라 등 제노바가 중요한 식민지를 많이 가진 흑해와 유럽의 교역로를 최종적으로 오스만 제국이 독점할 것을 우려했다. 제노바는 또한 1395년바예지드 1세가 포위했던 콘스탄티노플의 금각만 북쪽에 있는 갈라타 지구를 소유하고 있었다.[1]

1394년 보니파시오 9세는 오스만 제국에 대한 새로운 십자군을 선언했지만, 당시 교회 분열로 인해 아비뇽로마에 대립 교황이 존재하여 교황권이 둘로 나뉘어 있었고, 교황이 십자군을 소집할 권위를 갖는 것은 먼 과거의 일이 되어 있었다.[1]

백년 전쟁이 소강 상태였던 잉글랜드와 프랑스는 십자군에 자금 지원을 할 의지가 있었다. 헝가리 왕이자 후에 신성 로마 황제가 되는 지기스문트와 프랑스는 1393년부터 연합 십자군에 관한 협상을 진행했다.[1]

3. 전쟁 준비

존 오브 곤트, 오를레앙 공 루이, 부르고뉴 공국의 용담공 필리프 등에 의한 초기 십자군 계획은 1396년 초에 폐기되었다.[112] 대신 느베르의 장이 이끄는 프랑스군과 헝가리 왕국의 지기스문트 왕이 이끄는 군대가 연합하여 십자군을 구성했다.[112] 왈라키아 공국의 미르체아 1세는 동방 정교회 신자였지만 십자군에 참가했다.[114]

십자군은 서유럽의 중기병 중심 전술과 왈라키아의 경기병 중심 전술 중 선택해야 했다. 십자군의 주력은 느리고 전형적인 서유럽의 중기병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미르체아는 전투 전에 지기스문트에게 적의 전력을 평가하기 위한 정찰을 요청했고, 지기스문트는 이에 동의했다. 미르체아는 십자군의 지휘권과 왈라키아 경기병대가 정찰 후 첫 공격을 가할 권리를 요구했으나, 느베르의 장 등은 전통적인 전술이 아니면 수정도 거부했다.[114] 결국 서유럽식 전술이 채택되었다.

참전 병력 수는 역사적 기록에서 논쟁적이다. 중세 연대기 작가들은 니코폴리스 전투를 매우 중요하게 여겨 참전 병력 수를 40만 명까지 부풀리기도 했다. 그러나 요한 쉴트베르거는 십자군 병력을 17,000명으로 추산했다.[20] 19세기 독일 역사가들은 십자군 7,500~15,000명, 투르크군 12,000~20,000명으로 추산하며, 니코폴리스 주변에서 수만 명의 병력과 말에게 식량을 공급하는 것은 물류상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20]

자료연도소속십자군 수투르크군 수총 병력 수참고
요한 쉴트베르거1427유럽16,000200,000216,000[21]
Şükrullah의 'Behçetut-Tevârih''1460년대오스만130,00060,000190,000[22]
19세기 독일 역사가19세기유럽7,500–9,00012,000–20,00019,500–29,000[20]
데이비드 니콜1999유럽16,00015,00031,000[23]



터키의 세밀화가 나카쉬 오스만이 1584년부터 1588년까지 그린 ''후네르나메''에 묘사된 니코폴리스 전투

4. 니코폴리스 공략

십자군은 니코폴리스 요새를 포위했지만, 공성 무기가 부족했고 요새는 견고했다. 그럼에도 십자군은 요새 포위를 콘스탄티노폴리스 구원의 전주곡 정도로만 생각했고, 오스만 제국의 술탄 바예지드 1세가 그렇게 빨리 올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했다.[40] 바예지드 1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포위를 풀고 군대를 모아 니코폴리스로 향했다.[113] 그의 신하인 세르비아스테판 라자레비치도 도중에 합류했다.[113]

티투스 페이(Titus Fay)가 니코폴리스 전투에서 헝가리 국왕 지기스문트(King Sigismund)를 구출하는 모습. 바자 성(Castle of Vaja)에 있는 그림, 페렌츠 로르(Ferenc Lohr)의 작품, 1896년.


니코폴리스는 방어가 잘 되어 있었고, 보급도 충분했다.[79] 니코폴리스의 터키 총독 도안 베이(Doğan Bey)는 바예지드가 구원하러 올 것이라 확신하며 장기 포위전에 대비했다.[80] 십자군은 공성 무기를 가져오지 않았지만, 부시코는 사다리가 투석기보다 낫다고 낙관했다. 그러나 공성 무기 부족, 가파른 경사, 견고한 요새화로 인해 강제 점령은 불가능했다.[80] 십자군은 요새 주변에 진지를 설치하고 강을 봉쇄하여 포위 공격을 시작했다.[80]

십자군이 축제와 게임을 즐기는 동안 2주가 흘렀다. 술에 취했거나 부주의했는지, 십자군은 경계병을 배치하지 않았다.[82] 바예지드는 이미 아드리아노플을 지나 터르노보로 강행군하고 있었다.[82] 헝가리 왕 지기스문트는 정찰병을 보내 터키군이 오고 있다는 소식을 전해 들었다.[82]

상황을 정찰한 드 쿠시는 터키군이 접근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기만 전술을 써서 터키군을 매복으로 유인하여 많은 수를 죽였다.[83]

지기스문트는 군사 회의를 소집하여 미르체아와 함께 터키군과의 전투 경험이 있는 왈라키아 보병을 첫 공격에 투입하는 전투 계획을 제안했다. 지기스문트는 프랑스군이 돌격 선두를 형성하고, 헝가리군과 다른 동맹군이 공격을 지원하는 방안을 제시했다.[83] 그러나 드 외는 이 제안을 기사들을 비하하는 것이라며 반대했고, 자신이 대장으로 전면에 서겠다고 선언했다. 부시코의 지지를 받은 네베르은 젊은 프랑스 영주들의 자신감에 쉽게 설득되었다.[83]

5. 전투

니코폴리스 전투 지도


thumb를 구출하는 모습. 바자 성(Castle of Vaja)에 있는 그림, 페렌츠 로르(Ferenc Lohr)의 작품, 1896년.]]

thumb

1540년 전투 묘사


1396년 9월 25일, 십자군오스만 제국군은 니코폴리스에서 격돌했다. 저녁 식사 중 십자군은 바예지드 1세 군대의 도착 소식에 큰 충격을 받았다.[112] 십자군은 프랑스영국 군대가 전위를 맡고, 지기스문트는 헝가리, 독일, 트란실바니아, 왈라키아 군대를 이끌었다. 바예지드 1세는 기병대를 전위에 배치하고, 본대는 궁수와 예니체리로 구성했으며, 오스만군과 세르비아군은 언덕 뒤에 숨었다.

전투는 프랑스군의 돌격으로 시작되었지만, 오스만군의 주력 부대와 마주쳐 패배했다. 지기스문트가 이끄는 헝가리군은 세르비아군의 지원을 받은 오스만군에게 압도당했다. 왈라키아 군대는 전투에서 패배를 직감하고 퇴각했다.

참전 병력 규모에 대해서는 다양한 주장이 있다. 중세 연대기 작가들은 십자군과 오스만군 양측 모두 수십만 명에 달한다고 과장했지만, 현대 역사가들은 십자군 7,500~15,000명, 오스만군 12,000~20,000명 정도로 추정한다.[20]

자료연도소속십자군 수투르크군 수총 병력 수참고
요한 쉴트베르거1427유럽16,000200,000216,000[21]
Şükrullah의 'Behçetut-Tevârih''1460년대오스만130,00060,000190,000[22]
19세기 독일 역사가19세기유럽7,500–9,00012,000–20,00019,500–29,000[20]
데이비드 니콜1999유럽16,00015,00031,000[23]


5. 1. 전투의 전개

지기스문트는 자신의 군대를 셋으로 나누어, 헝가리독일 군대를 이끌고 중앙을 담당했다. 트란실바니아 군대는 우익을, 미르체아 1세 휘하의 왈라키아 군은 좌익을 담당했다. 바예지드 1세는 적의 중기병대 돌격을 저지하기 위한 말뚝으로 보호받는 기병대를 전위에 배치하고, 본대는 궁수와 예니체리로 구성했으며, 오스만군과 세르비아군은 언덕 뒤에 숨었다.[112] 미르체아 1세는 왈라키아 기병대를 활용한 선제공격을 제안했으나, 다른 십자군들에게 거부당했다.[112]

프랑스군은 오스만 기병대를 향해 돌격했으나, 목책에 도달했을 때 말에서 내려 목책을 제거해야 했다. 오스만 궁수들의 방해 속에 이 작업이 수행되자, 갑옷을 입지 않은 오스만 기병대들이 서양 기사들과 근접전을 벌였다. 프랑스군은 기병대를 공격하여 성공을 거두었고, 말에서 내린 상태였지만 언덕 뒤까지 퇴각하는 오스만군을 추격했다. 그러나 정상에서 기진맥진한 프랑스군은 오스만군의 주력을 만나 격파되었다. 장 드 비엔은 난전 중에 전사했고, 장 드 카루주 역시 쓰러졌다. 장 드 느베르, 앙게랑 7세 드 쿠시, 장 르 멩그르 등은 포로로 잡혔다.[112]

기사를 잃은 말들이 지기스문트의 캠프로 돌아왔고, 지기스문트는 프랑스군을 구원하러 갔다가 언덕에서 바예지드의 군세를 만났다.[105] 세르비아군이 도착하기 전까지 전투는 호각이었다. 지기스문트는 킬리의 헤르만 2세가 지휘하는 군대의 도움을 받아 베네치아 배가 있는 곳으로 퇴각했다.[105] 지기스문트는 "만약 그들이 내 말을 들었더라면, 우리는 많은 적들을 포로로 삼았을 것이다."라고 주장했다.[105]

스테판 라자레비치는 5,000명 정도 되는 세르비아 중무장 기병대의 돌격을 지휘하여 지기스문트의 우익을 포위 공격했다. 바예지드와 스테판 라자레비치는 니콜라 2세 고르잔스키의 군기를 알아차리고 거래를 성립, 지기스문트의 군대는 항복했다. 왈라키아 군대는 퇴각하여 고향으로 향했다.[112]

5. 2. 전투의 패인

십자군 지휘부는 전략적인 오판과 내부 분열을 겪었다. 왈라키아미르체아 1세는 오스만군을 유인하여 분산시킨 후 서유럽 기사들이 돌격하는 신중한 작전을 제안했으나, 다른 십자군들은 왈라키아 군주가 영광을 독차지하려 한다고 생각해 거부했다.[112] 서유럽인들은 정직한 돌격 작전을 고수했는데, 이는 결국 십자군에게 재앙을 불러왔다.

프랑스군은 우수한 갑옷을 입고 오스만 기병대를 향해 돌격했지만, 목책에 도달했을 때 말에서 내려 목책을 제거해야 했다. 이 과정에서 오스만 궁수들의 공격을 받았고, 근접전에서 서양 기사들과 격돌했다. 프랑스군은 기병대를 공격하여 성공했지만, 언덕 뒤까지 퇴각하는 오스만군을 추격하다가 기진맥진한 상태에서 오스만군의 주력과 마주쳐 완패했다. 프랑스 해군 제독 장 드 비엔은 전사하고, 장 드 느베르, 앙게랑 7세 드 쿠시, 장 르 멩그르 등 주요 지휘관들이 포로로 잡혔다.[112]

헝가리 왕 지기스문트는 프랑스군을 구원하려다 언덕에서 바예지드의 군세를 만나 전투를 벌였으나, 세르비아 군의 개입으로 전세가 불리해졌다. 킬리의 헤르만 2세의 도움으로 퇴각한 지기스문트는 프랑스군이 자신의 말을 들었더라면 많은 적들을 포로로 삼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105]

오후 늦게 스테판 라자레비치가 이끄는 5,000명의 세르비아 중무장 기병대가 지기스문트의 우익을 공격했고, 바예지드와 스테판 라자레비치는 지기스문트 측에서 싸우던 니콜라 2세 고르잔스키를 알아보고 거래를 성사시켜 지기스문트 군은 항복했다. 왈라키아 군대는 십자군의 절망적인 공격과 지기스문트의 항복을 목격하고 퇴각했다.[112]

요한 쉴트베르거는 십자군의 병력을 17,000명으로, 투르크군은 20만 명으로 추산했지만, 19세기 독일 역사가들은 각 진영의 참전 병력을 약 7,500~15,000명의 기독교인과 약 12,000~20,000명의 투르크군으로 추정했다.[20][21] 이는 니코폴리스 주변 지역의 물류적 한계를 고려한 것이다.

자료연도소속십자군 수투르크군 수총 병력 수참고
요한 쉴트베르거1427유럽16,000200,000216,000[21]
Şükrullah의 'Behçetut-Tevârih''1460년대오스만130,00060,000190,000[22]
19세기 독일 역사가19세기유럽7,500–9,00012,000–20,00019,500–29,000[20]
데이비드 니콜1999유럽16,00015,00031,000[23]



결과적으로, 십자군은 전략적 오판, 지휘부의 내분, 서유럽 기사 중심 전술의 한계, 그리고 오스만군의 효과적인 전술과 병력 운용으로 인해 패배했다.

6. 영향

9월 26일, 바예지드 1세는 라호보에서 학살된 오스만군 포로들에 대한 보복으로 3,000명에서 10,000명에 달하는 십자군 포로들을 학살했다. 어린 포로들은 오스만 군대에 편입되었다.[111] 이 학살은 십자군 측 지휘관들의 오판과 오만함, 그리고 바예지드 1세의 분노가 결합된 결과였다.

지기스문트는 니콜라 고르잔스키와 실리의 헤르만의 도움으로 도망쳤고, 베네치아 배를 타고 흑해, 에게 해, 지중해를 거쳐 귀환했다. 이 과정에서 왈라키아인들의 배신을 경험했다. 서유럽의 기사들은 십자군에 대한 열정을 잃었고, 스페인과 지중해, 북유럽의 이교도에 대한 전투는 계속되었지만, 발칸반도에서 오스만 제국의 진격을 막기 위한 서유럽의 원정은 르네상스 시대까지 더 이상 없었다.

잉글랜드프랑스는 곧 전쟁을 재개했다. 왈라키아1397년1400년에 오스만 제국의 추가적인 진격을 저지하며 저항을 계속했다. 1402년 앙카라 전투에서 티무르에게 바예지드 1세가 패배한 후, 왈라키아의 미르체아 1세는 헝가리와 연합하여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전쟁을 벌였다.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1460년 모레아, 1461년 트라페주스 제국이 멸망하면서 발칸과 아나톨리아에서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그리스인들의 저항 거점과 비잔티움 제국의 흔적은 사라졌다. 니코폴리스 전투는 제2차 불가리아 제국의 종말로 이어졌으며, 이 전투의 승리로 오스만 제국은 유럽의 동맹 결성을 억제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대한 압박을 계속하며 발칸 반도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했다.[111]

6. 1. 역사적 의의

니코폴리스 전투는 중세 십자군 시대의 종말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 중 하나였다. 1389년 코소보 전투에서 승리한 후 발칸 반도의 대부분을 장악한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1396년 서유럽 국가들은 십자군을 조직했다. 그러나 이 십자군은 니코폴리스에서 오스만 제국에게 대패하였다.

이 패배로 서유럽 중심의 십자군 원정은 한계를 드러냈다. 프랑스잉글랜드백년 전쟁을 다시 시작했고, 서유럽 국가들은 더 이상 발칸 반도에서 오스만 제국의 확장을 막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았다. 1440년대에 들어서야 발칸 반도로 원정군이 보내졌다.

오스만 제국은 니코폴리스에서의 승리로 발칸 반도에 대한 지배를 더욱 강화했다. 왈라키아1397년1400년에 오스만 제국의 침공을 격퇴하며 저항을 계속했다. 1402년 앙카라 전투에서 티무르에게 바예지드 1세가 패배하면서 오스만 제국은 일시적인 혼란에 빠졌지만, 이후 헝가리, 폴란드, 왈라키아 연합군은 1444년 바르나 전투에서 패배했다. 결국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을 시작으로, 1460년 모레아 전제공국, 1461년 트라페주스 제국이 멸망하면서 발칸과 아나톨리아에서 동로마 제국의 흔적은 완전히 사라졌다.

니코폴리스 전투는 제2차 불가리아 제국의 종말을 알리는 사건이기도 했다. 십자군의 패배로 불가리아 부흥의 희망은 사라졌고, 마지막 차르였던 불가리아의 이반 스라치미르는 포로로 잡혀 죽임을 당했다.[58]

이 전투의 승리로 오스만 제국은 유럽 국가들의 연합을 저지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대한 압박을 계속할 수 있었다. 또한 발칸 반도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여 중앙 유럽에 대한 위협을 증대시켰다.[9]

참조

[1] 서적 The Wars of the Balkan Peninsula: Their Medieval Origins Scarecrow Press
[2] 서적 The Crusades and the military orders: expanding the frontiers of latin christianity
[3] 서적 Bulgaria: History Retold in Brief Riga
[4] 웹사이트 Constantinople 1453: The End of Byzantium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23-09-00 #추정 날짜,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음.
[5] 논문
[6] 논문
[7] 서적
[8] 백과사전 The Oxford Encyclopedia of Medieval Warfare and Military Technology
[9] 웹사이트 Battle of Nicopolis https://www.britanni[...] 2009-02-18
[10] 서적
[11] 서적
[12] 웹사이트 Battle of Nicopolis 2023-06-20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웹사이트 The Artillery of the Dukes of Burgundy, 1363–1477 https://books.google[...] Boydell Press
[18] 저널 A Magyar Királyság geopolitikai helyzete Luxemburgi Zsigmond korában https://rubicon.hu/k[...] 2022-05-00 # 월까지만 표시
[19] 서적 A magyar nemzet hadtörténelme
[20] 서적
[21] 웹사이트 The Battle of Nicopolis (1396) http://www.deremilit[...] The Society for Medieval Military History 1427
[22] 웹사이트 Askerı Yapi Ve Savaşlar: Savaşlar (2/11) http://www.theottoma[...] www.theottomans.org
[23] 서적
[24]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25] 서적
[26] 저널 The English at Nicopolis
[27] 서적
[28] 서적
[29] 웹사이트 Niğbolu Savaşı (Niğbolu Zaferi) http://www.dallog.co[...]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웹사이트 I Turchi E L'Europa: Dalla battaglia di Manzikert alla caduta di Costantinopoli: Bayazed I (1389–1402) http://www.maat.it/l[...] www.maat.it 2009-02-18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The Waning of the Middle Ages 1924
[58] 서적 Българските ханове и царе Abagar
[59] 서적
[60] 웹사이트 The Battle of Nicopolis (1396) http://www.deremilit[...] The Society for Medieval Military History ca 1427
[61] 웹사이트 Askerı Yapi Ve Savaşlar: Savaşlar (2/11) http://www.theottoma[...] www.theottomans.org
[62]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
[63] 서적
[64] 학술지 The English at Nicopolis
[65] 문서 Grant
[66] 문서 Madden
[67] 웹사이트 Türk Tarihi: Battle of Nicopolis (Turkish) https://web.archive.[...]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undefined
[72] 서적 undefined
[73] 서적 undefined
[74] 서적 undefined
[75] 서적 undefined
[76] 서적 undefined
[77] 서적 undefined
[78] 서적 undefined
[79] 서적 undefined
[80] 서적 undefined
[81] 서적 undefined
[82] 서적 undefined
[83] 서적 undefined
[84] 서적 undefined
[85] 서적 undefined
[86] 서적 undefined
[87] 서적 undefined
[88] 서적 undefined
[89] 서적 Barbara von Cilli. Ihre frühen Jahre als Gemahlin Sigismunds und ungarische Königin Philipp von Zabern
[90] 서적 The realm of St. Stephen: a history of medieval Hungary, 895–1526 Penn State Press
[91] 서적 undefined
[92] 서적 undefined
[93] 서적 undefined
[94] 웹사이트 I Turchi E L'Europa: Dalla battaglia di Manzikert alla caduta di Costantinopoli: Bayazed I (1389-1402) http://www.maat.it/l[...] www.maat.it 2009-02-18
[95] 서적 undefined
[96] 서적 undefined
[97] 서적 undefined
[98] 서적 undefined
[99] 서적 undefined
[100] 서적 undefined
[101] 서적 The Waning of the Middle Ages
[102] 서적 undefined
[103] 서적 undefined
[104] 서적 The Crusades and the military orders: expanding the frontiers of latin christianity
[105] 서적 Battle a Visual Journey Through 5000 Years of Combat Dorling Kindersley
[106] 웹사이트 The Ottomans: Battle of Nicopolis (Turkish) http://www.theottoma[...]
[107] 웹인용 Türk Tarihi: Battle of Nicopolis (Turkish) http://www.dallog.co[...] 2008-08-29
[108] 서적 Crusades the Illustrated History University of Michigan P 2005
[109] 서적 Crusades the Illustrated History University of Michigan P 2005
[110] 웹인용 I Turchi e l'Europa: Dalla battaglia di Manzikert alla caduta di Costantinopoli http://www.maat.it/l[...] 2008-08-29
[111]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Battle of Nicopolis http://www.britannic[...]
[112] 서적 Crusades the Illustrated History University of Michigan P 2005
[113] 서적 Battle a Visual Journey Through 5000 Years of Combat Dorling Kindersley 2005
[114] 서적 Crusades the Illustrated History University of Michigan P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